스웨덴의 작은 마을 알메달렌에서는 매년 7월 '정치박람회'가 열립니다. 8일 동안, 국회에 의석이 있는 모든 정당이 참여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정책을 발표하고 세미나를 개최하죠. 골목 곳곳에서는 전국에서 온 청소년들이 정치인 등과 토론을 하며 정치적 역량을 키웁니다.<br /> <br /> 최연혁 스웨덴 린네대학 교수는 책 '알메달렌, 축제의 정치를 만나다'에서 '정치의 새로운 틀을 세우려면 능력 있는 청년 정치인을 길러낼 수 있는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.'라고도 했죠.<br /><br /> 그럼, 우리 정치는 어떨까요? 서른여섯 살의 이준석 대표가 국민의힘의 얼굴이 되면서 청년정치가 정치권의 화두로 급부상했습니다. 청와대는 청년비서관에 대학생을 임명하고,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청년특임장관직 신설을 제안할 정도니까요.<br /><br /> 그런데 막상 청년 정치의 주역인 20~30대는 정치권의 이런 구애에 시큰둥합니다. '이번 생은 망했다.'라는 '이생망' 한탄을 쏟아내는 청년들은 4.7 보궐선거 결과와 이 대표 ...